용차와 지입차는 화물 운송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가집니다. 이 둘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차 (傭車)
용차는 일반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개별적으로 불러 사용하는 화물 차량을 의미합니다. 특정 운수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개인이나 기업이 필요한 화물 운송이 발생할 때마다 계약을 맺어 운송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화물콜 등 어플을 통해 운송일자리를 잡는 붙들이 용차를 많이 합니다.
- 운영 방식: 독립적인 개별 화물차주나 소규모 운송 업체가 주로 용차 형태로 운행합니다.
- 업무 형태: 일회성 운송이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비정기적인 운송에 주로 활용됩니다.
- 수익 구조: 건별 운송료를 받으며, 일이 있을 때만 수익이 발생하므로 수입의 변동성이 큽니다.
- 장점: 필요할 때만 불러 사용하므로 고정비 부담이 적습니다.
- 단점: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쉬는 날이 많아 생활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지입차 (持入車)
지입차는 운수 회사에 차량을 등록(지입)하고, 해당 운수 회사로부터 고정적인 일감을 받아 운송을 수행하는 화물 차량을 말합니다. 차량 소유주는 개인사업자 형태로 운수 회사와 계약을 맺고 일을 합니다.
- 운영 방식: 운수 회사 명의로 영업용 번호판(노란색 번호판)을 달고, 회사의 관리하에 배송 업무를 수행합니다.
- 업무 형태: 특정 노선이나 물류센터에서 고정적으로 일감을 받아 안정적인 운송을 합니다.
- 수익 구조: 운수 회사와의 계약을 통해 월정액 또는 운행 건수에 따른 정산 방식으로 수익을 얻습니다. 유류비, 통행료, 지입료 등은 본인이 부담합니다.
- 장점: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할 수 있어 꾸준한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운수 회사에서 세금 처리나 사고 처리 등의 행정 업무를 대행해 주기도 합니다.
- 단점: 지입료, 보험료, 차량 유지 보수비 등 고정 지출이 발생하며, 운수 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습니다.
핵심적인 차이점 요약
구분 | 용차 | 지입차 |
---|---|---|
소속 | 특정 회사에 소속되지 않음 | 운수 회사에 차량 등록 및 소속 |
일감 | 필요할 때마다 비정기적으로 운송 | 운수 회사로부터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일감 수령 |
수익 | 건별 운송료, 수입 변동성 큼 | 월정액 또는 고정 물량 기반, 비교적 안정적인 수입 |
번호판 | 영업용 번호판 (법인넘버 or 개인넘버) | 운수 회사 명의의 영업용 번호판 (간혹 개인넘버도 있음) |
운영 주체 | 개별 화물차주가 독립적으로 운영 | 운수 회사와 계약 후 회사의 관리하에 운영 |
결론적으로, 용차는 유동적인 단기 계약 위주로 운영되는 반면, 지입차는 특정 운수 회사에 소속되어 안정적인 장기 일감을 받아 운행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